본문 바로가기
여행

랜드마크 500pcs 노이슈반슈타인성 - 독일 여행 경비(비용) 및 워터프론트 여행 코스 볼거리 8월 9월 10월 날씨

by trekdiary 2025. 4. 2.
반응형
랜드마크 500pcs 노이슈반슈타인성

유럽 ​​여행에 인사하는 투어 바우트입니다. 투어 바우트가 서유럽에서 가장 좋아하는 나라 독일, 여행지에서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고 싶습니다. 우선, 여행 경비나 물가 정보나 볼거리를 중심으로 안내하겠습니다.

 

독일 여행의 기본 정보 (날씨, 전압, 시차, 입국 심사 등)

겨울 날씨는 한국과 비슷하며 여름은 우리보다 시원합니다. 가장 더운 78월의 경우 아침 기온은 약 14도 정도, 주간 기온은 27도 정도입니다. 기온에 비해 햇빛이 뜨거운 쪽으로 햇볕이 큰 편이므로, 햇볕이나 추운 바람을 막아 주는 얇은 긴팔의 옷을 여름에도 손에 넣는 것이 좋다. 전체적으로는 4월 중순10월 중순까지 여행하기에 좋은 시즌에 속하지만, 4월과 10월은 가끔 기온이 0도 가까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람이 불고 흐려지면 시원한 한기가 느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는 78월에 가장 많지만 우리의 장마처럼 크게 분명하지 않은 분이며 균등하게 오는 분입니다. 물론 겨울에는 눈이 자주 올 수도 있습니다. 여행할 때 우산을 항상 지참하는 것이 좋습니다. ▼뮌헨 8월10월의 날씨

 

거의 유럽 국가들처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90일 무비자 입국이 가능합니다. 입국심사는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여행목적을 듣고 가지고 있는 현금을 보여준 적이 있었습니다. 간단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일 여행의 볼거리, 추천 스케줄

생각보다 면적이 큰 나라입니다만, 한국의 약 배 정도가 되는 사이즈입니다. 그러고 보면 독일 일국만 여행을 해도 적어도 2주일 정도는 취해야 합니다. 보통 스위스와 오스트리아, 체코와 묶여 중부와 남부를 중심으로 45일 짧은 일정으로 많이 다가오는 분이지만 독일 자체만으로도 정말 매력적인 여행지가 많습니다.

 

대신 시내의 구시가는 도로도 좁고, 일방통행도 많고, 보행자 전용 구역도 많아, 대도시는 특정의 거점에 차를 주차시킨 후, 도보나 대중교통기관을 이용해 다니는 스케줄을 추천합니다. 독일의 주요 볼거리 여행지는 크게 4곳 정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선, 비행편이 많이 오가는 프랑크푸르트와 인근 대학 도시 하이델베르크가 있는 서부권, 아름다운 로맨틱 가도로 유명한 중세 도시 뷔르츠부르크와 로텐부르크, 뉘른베르크가 위치한 중부권이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로맨틱 거리 근처의 도시를 가장 좋아합니다. 셋째, 대도시 뮌헨과 디즈니 동화 속에서 나올 것 같은 아름다운 성을 볼 수 있는 퓌센이 위치한 남부권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수도 베를린과 구 동독의 중심도시 드레스덴의 동부권이 있다. 나라가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 효율적인 동선 계획이 필요한 곳입니다. 시간이 없는 분은, 크게 욕심을 내는 것보다 1개 2곳 정도의 권역만을 선택해 스케줄을 짜는 것이 좋다.

 

독일만 여행하는 경우 별도의 아웃아웃 도시를 갖고 여행해야 하며 중복 구리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보통 프랑크푸르트 인, 뮌헨 아웃에서 잡고 서쪽에서 중부, 남부로 여행하는 코스가 인기가 있습니다. 베를린과 드레스덴이있는 동부는 인근 국가의 체코 공화국과 연결되어 여행하기에 이상적입니다. 드레스덴에서 프라하까지 많은 열차와 버스가 운행됩니다.

 

스위스, 프랑스, ​​오스트리아, 체코 등 근처의 나라와 함께 묶어 여행을 하는 경우, 짧고 굵게! 스위스 뮌헨 (푸센) 오스트리아의 스케줄을 선택합니다. 해당 스케줄이라면 34일 정도의 짧은 스케줄로 독일을 맛볼 수 있습니다.

 

뮌헨을 중심으로 로맨틱 가도의 뉘른베르크, 밤베르크, 뷔르츠부르크, 로텐부르크도 1박 2일 일정으로 갈 수 있으므로 적어도 독일에서의 일정은 5일 이상 잡는 것이 좋습니다.

 

독일 여행비, 워터프론트

EU의 핵심 회원국으로 유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선진국의 타격은 물가가 그렇게 괜찮습니다. 근처 프랑스와 이탈리아, 오스트리아보다 싸게 느껴졌습니다. 물론 스위스보다는 확실히 싸고. 여행비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공료만큼 높은 편은 아닙니다. 프랑크푸르트나 뮌헨에 들어가는 항공편이 직항에서 유럽, 중동, 중국, 동남아시아 경유 등 선택의 폭이 꽤 넓은 편입니다.

 

오프 시즌 기준으로 경유편(중국 경유)은 약 80만원대에서 시작하고 직항편(에어 프리미어)은 100만원대에서 시작하지만, 에어 프리미어의 특가를 잘 찾아보면 80만원대 미만의 요금도 찾을 수 있습니다. 숙박 요금은 파리, 비엔나 등 인근 국가보다 약간 저렴합니다. 호스텔 다이 인 룸의 경우 약 25,000원 ​​정도부터 시작하여 3성급 호텔 더블룸이 1박에 10만원 정도부터 시작합니다.

 

특히 저는 식비가 제일 괜찮다고 생각했습니다. 통상 샌드위치나 케밥을 드시면 10,000원 ​​미만으로 해결이 가능하고, 파스타와 같은 요리도 16,000원대 정도로 먹을 수 있었습니다. 나름대로 특식이라고 할 수 있는 슈바인 숙센이나 슈니첼도 20,000원 ​​초중반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맥주의 나라답게 맥주가 저렴합니다. 마트에서는 1,500원대 정도로 500ml의 캔 구입이 가능하며, 식당에서 생맥주 잔에 4,500원 정도 합니다. 물론 고급 레스토랑이 아닌 일반 레스토랑 기준입니다.

 

물론, 혼자 여행하는 경우, 렌터카는 비용면에서 무리입니다만, 3명 정도라면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가격입니다. 기름값은 1리터에 2,300원 수준으로 우리보다 조금 높은 편입니다. 그리고 독일은 파리나 로마 같은 유명한 랜드마크가 적은 편으로, 현지에서 사용하는 입장료가 근처의 나라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종합해 보면, 렌탈비와 숙박비를 제외하고, 하루에 약 6만원을 최소 비용으로 취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가격에 비해 코스파가 좋은 옵션이 많은 나라입니다. 물론 한국보다 물가가 높은 편에 속합니다. 대략 8박 10일의 여행 경비는 하기 정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인근 프랑스나 이탈리아를 여행하는 경비보다 1520% 정도는 싼 편입니다. 덧붙여서 비용은 개인 여행의 경향에 따라 차이가 큰 경우가 있기 때문에, 참고 정로도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