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등과 영산전
돌과 같은 부처
영상정 영상정 [기산전] 정의 사원에서 석가모니와 일대기를 8시기에 나누어 그린 팔상 탄화를 봉안하는 불교 건축물. 팔상전. 개설 영산은 靈鷲山의 중반에서 석가모니가 설법한 영산불국을 상징한다. 영축산악은 불이 『법화경』을 설법하고 있던 곳에서, 불교의 성지를 영산전을 통해 현현시킨 것으로, 여기에 참배하는 것으로, 폐허 세계의 불국토인 영산 회상에 참배하게 된다. 내용 여기에는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좌우로 갈라보살(호라보살)과 미륵보살을 협시(脇侍)로 봉안한다. 불상 후 불애축에서는 영산 회상도를 봉안하고, 영축산에서의 호화경 설법상을 묘사하고 있으며, 그 주위에는 8폭의 팔상을 봉안한다. 팔상탄화는 석가모니블의 생애를 그린 것으로, 불교도들이 그의 생애를 8개의 사건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습관에서 유래한 것이다. 팔상을 설명하는 학설에는 이론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영산전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팔상도를 봉안하고 있다. ① 도솔천에서 인간세계로 내려가는 모습[토요이 의상], ② 룸비니 공원에서 부처님이 탄생하는 모습[비엔 강생상], ③동서남북의 4문을 둘러싸고 출가를 결심하는 모습[4문 유모상], ④ 성문을 넘어 출가하는 모습[瑜城出家相], ⑤설산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해 고행하는 모습[설산고행상], ⑥ 보리 아래에서 악마의 항복을 받는 모습 [수하 강마상], ⑦미도리노엔에서 최초로 설법하는 모습[사원 轉轉法相], ⑧사라 쌍수나무 아래 열반에 들어가는 모습[雙林涅槃相] 등이다. 이처럼 팔상의 연꽃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영산전을 장상전이라고도 한다. 한국의 사원 가운데, 큰 사원에는 대부분이 이 전각을 두고 있어, 특히 천대종 사상을 계승한 사원에서는, 영산전을 본전으로 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에 있는 1962년 국보로 지정된 법주사 8상전을 비롯해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송광사 영산전 등이 있다.
석가원불과 협시한 10대 제자 중 대가엽과 아나율 본래 영산전에 봉안되는 산존화는 주존석가 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로 제화가라보살과 미륵보살이 협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무량사의 영산전은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협시한 것이 특징이다.
왼쪽 오베쿠나 한산
오른쪽 오베쿠나 한산
원통전
원통전
해상룡왕, 천수천안관음보살, 남순동자
영정각
급식실
묵묵히 템플 스테이 전각
삼성각
삼성각
산신탄, 칠성탄, 유독탄
보수중인 범종각
부도전